1. 이름;

   한자명과 한글명을 각각 쓴다. 한자명이 없는 경우에는 한글명만을, 외국인의 경우 한문명 난에

   주민등록상 등재된 성명을, 각각 쓴다. 모든 문자는 정자(正字)로 써야한다.

   예) O 洪吉童(홍길동), O 브라운 영(Brown, H. Young)  

 

   ▣ 주의; 지명 등 고유명사를 기재할 때에는 항상 한문명을 먼저 쓰고 괄호내에 한글명을

           쓴다.

 

2. 구 족보 등재현황;

   水原白氏 丁丑大同譜(1997년 본)에서 등재된 권수와 쪽수, 세수를 각각 기재한다.

   ※ 보책(족보)이 없는 경우에는 인터넷 족보에 등재된 권, 쪽, 세수를 기재해도 무방하다.

 

3. 자택주소;

   현재 거주지의 우편번호 및 주소를 기재한다. 가능한 한 도로명주소를 기재한다.

 

4. 자(字), 호(號), 일명(一名) 등;

   자, 호, 일명 등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한자와 함께 기재 한다.

   예) O. 자; 英豪(영호),  O. 호; 務農(무농) 등

 

5. 입.출계 사항;

   보책 또는 인터넷 족보를 보면 입계(入系, 生父)에는 양자로 오기 전 친 부모가 등재된

   자손록의 쪽수가 표시되어 있으며 출계(出系, 養父)에는 양자로 간 자식이 등재된 자손록의

   쪽수가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입계에는 생부의 이름과 그 쪽수, 출계에는 양부(養父)의 이름 과 그 쪽수를 기재한다.

 

6. 출생, 사망 년월일;

   서기(西紀)로 년, 월, 일의 순으로 기재를 하고 양력과 음력을 표시한다. 간지(干支)로 만 알고 있는     경우에는 간지를 그대로 쓴다.

   예) 양;1946년 8월 29일, 음;1946년 7월 10일, 또는 병술(丙戌)년 7월 10일

 

7. 학력 및 학위;

   학력은 최종학력과 년도를, 학위는 받은 학교명, 학위명, 받은 년도를 표시한다.

   예) O. 서울대학교 문과대학졸업(1955년), O. 서울대학교 문학박사(1965년)

       O. 00고등학교졸업(1980년)

 

   ▣ 주의; 세(世)와 대(代)

촌수를 따지는데 代와 世의 두 가지가 있다. 위로부터 자기까지 넣어 세는 것을 世라하고, 자기를 빼고 밑에서 부터 세는 것을 代라 하는데 世는 따라서 代보다 하나 만큼 많게 된다.

 

8. 경력 및 상훈;

   특기 사항이 있으면 기재하며 각각 2개 이내로 제한하여 기재한다.

   예) O' 서울시장, 국회의원, O. 화랑 무공훈장

 

9. 묘소;

묘소는 현재의 지번이나 도로명주소를 쓰고 좌향을 기재한다. 행정구역은 한글로 표기하도록하고 부인의 묘와 같은 장소인 경우 합봉(合封), 쌍분 등을 그리고 석물(石物)이 있으면 이를 명시 한다.

   예) 양주시 광적면 효촌리 산 12, 안산 유좌(酉坐) 합분, 상석이 있음.

 

10. 부인(配) 기재방법;

부인은 “配”자를 쓰고 본관과 이름을 쓴다. 외명부 품계(貞敬夫人, 貞夫人, 淑夫人, 淑人, 令人, 恭人, 宣人, 安人, 瑞人, 孺人)가 있는 선조는 配자를 쓰고 외명부를 적고 본관과 이름을 적는다. 그리고 아버지 이름과 본인 생졸년월일을 기재하고 경력사항, 효열(孝烈) 특행이 있을 때는 그 행적을 기입한다.

   예: 配 淑人(숙인) 江陵 金喜順(강릉 김희순) 父 玄湖(현호); 1967년8월23일생, 강릉대학교졸업, 강릉(주) 부장역임, 강릉시장 효부상 수상

 

11. 딸, 사위 기재방법;

딸의 경우 女 자를 쓰고 이름을 한자와 한글로 쓴다. 사위는 夫자를 쓰고 성명, 본관, 부(父)의 이름을 기재하고, 외손은 기재하지 않는다.

   예: O 女 順熙(순희)

       O 夫 金泰植(김태식), 金海人(김해인), 父 賞首(상수), 子 金現壽, 女 金惠慶

   ▣ 사위의 학력, 경력은 기재하지 않는다. 단, 사위라도 고위 공직 경력 자(시장, 군수 이상)는 경력을 기재한다.

 

12. 사진, 추가경력 제출 방법;

누구의 사진인지 구분하기 위해 사진 뒷면에 사진 주인공의 이름, 派, 世를 기재하고, 사진의 설명이 필요한 경우 20 자 이내로 간단히 기재한다.  그리고 묘소와 재실은 주소를, 훈장은 훈장명을 기재해야 한다. 또한 게재를 원하는 추가경력은 별지에 기록하여 제출 한다.

   ▣ 인터넷족보에는 소종중사진, 영정, 표창장, 묘소, 묘비, 묘소약도 등도 게재가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개인 사진과 추가경력은 보책(譜冊)에는 등재되지 않고 인터넷족보에서만 볼 수 있다.

 

13. 주 의 ;

전 족보 기록 중에서 변동사항(사망, 묘소이장, 누락, 오기 등)이 있어 정정하고자 할 때에도 반드시 수단지를 후손이 작성하여 제출해야합니다. 그리고 전조(前祖) 미상인 경우는 “선대미상”으로 족보 말미에 수록해야합니다.